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인천국제공항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된 도시형 자기부상열차이다. 2004년 국가연구개발 실용화 사업으로 시작되어 2016년 개통되었으나, 잦은 고장, 낮은 이용률, 과도한 유지보수 비용 등의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2023년 9월 도시철도 시설로서의 영업을 종료하고 궤도 시설(관광용 철도)로 전환될 예정이다. 2024년 3월 운행 재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운행 시간 단축 및 열차 수 감소를 통해 운영 비용 절감을 계획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 인천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 인천국제공항 - 인천대교
인천대교는 송도국제도시와 영종도를 잇는 21.38km 길이의 고속도로 교량으로,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아름다운 야경으로도 유명하다. - 201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 201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서평택고속선
수서평택고속선은 SR이 운영하며 서울 수서역과 평택시 지제역을 잇는 61.1km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2016년 12월 개통되었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과 일부 구간을 공용하며 평택고속연결선을 통해 경부선과 연결된다.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종류 | 자기부상열차 |
노선 상태 | 운행 중단 |
기점 |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광역시 중구) |
종점 | 용유역 (인천광역시 중구) |
역 수 | 6 |
개통일 | 2016년 2월 3일 |
소유자 | 국토교통부 |
운영자 |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천공항시설관리 |
사용 차량 | 에코비 |
영업 거리 | 6.1km |
궤간 | 1,850 mm |
선로 수 | 복선 |
전철화 방식 | DC 1500V 제3궤조 리니어 모터 |
신호 방식 | RF-CBTC ATC/ATO (무인자동운전/수동운전) |
최고 속도 | 80 km/h (영업 최고 속도) |
설계 최고 속도 | 110 km/h |
노선 길이 | 6.1 km |
고도 | 24.5 m |
지도 정보 | |
![]() | |
역 목록 | |
역 | 인천국제공항1터미널역 |
역 | 장기주차장역 |
역 | 합동청사역 |
역 | 파라다이스시티역 |
역 | 워터파크역 |
역 | 용유역 |
추가 정보 | |
참고 | 2단계 연장 계획은 해안 지역 연결 및 국제 업무 단지 II까지 9.7km, 5개 역으로 계획되었음. 3단계는 영종도 순환형 노선으로 37.4km, 16개 역으로 설계되었음. |
2. 역사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자기부상열차 노선으로, 개발부터 개통, 운영 중단 및 재개까지 여러 단계를 거쳤다.
날짜 | 내용 |
---|---|
2004년 7월 | 국가 연구 개발 실용화 사업으로 결정 |
2005년 4월 30일 | 예비 조사 |
2006년 2월 - 8월 | 사업화 조사 |
2006년 10월 26일 | 도시형 자기부상철도 실용화 결정 |
2007년 6월 26일 | 인천광역시 설치 결정 |
2007년 11월 19일 | 설계 시작 |
2009년 4월 9일 | 기본 계획 결정 |
2010년 8월 3일 | 착공 |
2010년 10월 30일 | 설계 완료 |
2012년 5월 | 노선 명칭 공모 |
2012년 7월 17일 | 노선명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로 결정[26] |
2012년 8월 | 준공 |
2012년 11월 28일 | 시운전 시작 |
2014년 9월 28일 | 개통 무기한 연기 |
2015년 7월 8일 | 모델 사업 기간 연장 신청[27] |
2016년 2월 3일 | 개통 |
2016년 7월 1일 | 운행 사업자 변경 (인천교통공사 → 공항철도)[28] |
2017년 6월 19일 | 파라다이스시티역으로 역명 변경[29][30] |
2018년 1월 13일 | 인천공항1터미널역으로 역명 변경[31] |
2020년 2월 20일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운행 시간 단축[32] |
2022년 3월 11일 | 도시철도 사업 폐업 허가 신청[33] |
2022년 7월 13일 | 정비 지연으로 휴업[34] |
2023년 9월 1일 | 도시철도 시설 영업 종료, 궤도 시설로 전환 예정[35] |
2. 1. 개발 과정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국가연구개발 실용화사업으로 추진되어, 2006년 10월 26일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사업 계획이 확정되었다.[38] 2007년 2월 13일에는 전국 5개 시가 후보지로 선정되었고,[38] 같은 해 6월 26일 인천이 최종 선정되었다.[38]2009년 4월 9일 기본 계획이 고시되었고, 2010년 8월 3일 1단계 구간이 착공되었다. 2012년 5월에는 노선 명칭 공모가 진행되었으며, 같은 해 8월 1단계 구간이 준공되었다. 2012년 8월 16일에는 역명이 결정되었고,[39] 11월 28일 공식 시운전이 시작되었다.
당초 2013년 9월 개통 예정이었으나, 488개의 하자 사항이 발견되어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22] 2014년 7월부터 2개월간 시운전이 실시되었으나, 총 651건의 문제점이 지적되어[22] 2014년 9월 28일 개통이 무기한 연기되었다.[23]
2016년 2월 3일에 개통되었으며, 6개 역 구간을 15분 만에 주행한다. 현재는 모든 역의 자동 개찰구가 가동되지 않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24] 사업비는 4149억 원으로,[24] 한국 정부가 69%, 인천광역시가 6%, 인천국제공항공사가 25%를 부담했다.
자기부상열차는 "ECOBEE"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한국기계연구원과 현대로템이 공동 개발했다.[11][12] 대한민국에서 리니어 모터카가 처음으로 영업 운전을 시작한 것은 1993년 대전 엑스포 행사장에 설치된 노선이었다.
이후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2004년 7월 | 국가 연구 개발 실용화 사업으로 결정 |
2005년 4월 30일 | 예비 조사 |
2006년 2월 - 8월 | 사업화 조사 |
2006년 10월 26일 | 도시형 자기부상철도 실용화 결정 |
2007년 6월 26일 | 인천광역시 설치 결정 |
2007년 11월 19일 | 설계 시작 |
2009년 4월 9일 | 기본 계획 결정 |
2010년 8월 3일 | 착공 |
2010년 10월 30일 | 설계 완료 |
2012년 5월 | 노선 명칭 공모 |
2012년 7월 17일 | 노선명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로 결정[26] |
2012년 8월 | 준공 |
2012년 11월 28일 | 시운전 시작 |
2014년 9월 28일 | 개통 무기한 연기 |
2015년 7월 8일 | 모델 사업 기간 연장 신청[27] |
2016년 2월 3일 | 개통 |
2016년 7월 1일 | 운행 사업자 변경 (인천교통공사 → 공항철도)[28] |
2017년 6월 19일 | 국제업무단지역을 파라다이스시티역으로 개칭[29][30] |
2018년 1월 13일 | 인천국제공항역을 인천공항1터미널역으로 개칭[31] |
2020년 2월 20일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운행 시간 단축[32] |
2022년 3월 11일 | 도시철도 사업 폐업 허가 신청[33] |
2022년 7월 13일 | 정비 지연으로 휴업[34] |
2023년 9월 1일 | 도시철도 시설 영업 종료, 궤도 시설로 전환 예정[35] |
2. 2. 개통 및 운영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도시형 자기부상식 철도 실용화 사업으로 건설되었다. 2013년 9월 개통 예정이었으나, 488개의 하자 사항이 발견되어 보수 및 정비가 필요해 여러 차례 연기되었다.[22] 2014년 9월 말 영업 운전 개시를 목표로 시운전이 실시되었으나, 총 651건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22] 이 때문에 2014년 9월 28일 개통이 무기한 연기되었다.[23]2016년 2월 3일에 개통하여 7:30 - 20:30 사이에 운행하며, 6개 역 구간을 15분 만에 주행한다. 현재 모든 역의 자동 개찰구는 가동되지 않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지만, 수요에 따라 향후 유료화될 가능성도 있다.[24] 사업비는 4149억원으로,[24] 건설비는 한국 정부가 69%, 인천광역시가 6%, 인천국제공항공사가 25%를 부담했으며, 철도 부지는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제공했다.
2017년 6월 19일, 국제업무단지역의 이름을 파라다이스시티역으로 변경했다.[40] 2018년 1월 13일, 인천공항2터미널역 영업 개시로 인천국제공항역의 이름을 인천공항1터미널역으로 변경했다.[41]
2022년 7월 14일, 차량 중정비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에는 07:30부터 09:00까지, 18:00부터 19:00까지 인천공항1터미널역에서 15분 간격으로 출발하는 축소 운행을 하기도 했다.
날짜 | 내용 |
---|---|
2004년 7월 | 국가연구개발 실용화사업 추진 결정 |
2006년 10월 26일 |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사업 계획 확정 |
2007년 2월 13일 | 전국 시도 중에서 도시형 자기부상철도 입지 후보로 5개 시 선정[38] |
2007년 6월 8일 | 자기부상열차 사업제안서 제출 |
2007년 6월 26일 | 인천으로 최종 선정 |
2009년 4월 9일 | 기본 계획 고시 |
2010년 8월 3일 | 1단계 구간 착공 |
2012년 5월 | 노선 명칭 공모 |
2012년 8월 | 1단계 구간 준공 |
2012년 8월 16일 | 역명 결정[39] |
2012년 11월 28일 | 공식 시운전 시작 |
2014년 9월 28일 | 개통 무기한 연기 결정 |
2016년 2월 3일 | 개통 |
2017년 6월 19일 | 국제업무단지역을 파라다이스시티역으로 개정[40] |
2018년 1월 13일 | 인천공항2터미널역 영업 개시로 인천국제공항역을 인천공항1터미널역으로 개정[41] |
2022년 7월 14일 | 차량 중정비로 운행 중단 |
2. 3. 재개 및 미래
2022년 7월 14일, 차량 중정비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34] 2023년 7월 26일, 인천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비용 절감 방안이 통과되었다. 새로운 계획에 따르면 운행 시간은 13시간에서 6시간으로 단축되고, 열차 수는 103대에서 25대로 감소할 예정이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연간 운영 비용을 82억원에서 53억원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20]2024년 1월 3일,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024년 3월부터 운행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21] 2023년 9월 1일부터 도시철도 시설로서의 영업을 종료하고, 앞으로는 궤도 시설(관광용 철도)로 전환하여 운행을 재개할 예정이다.[35]
3. 기술
현대로템에서 개발 및 제조한 인천국제공항 UTM-03계 전동차는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된다.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상전도 흡인형 자기 부상식으로 6개의 역을 지나며, 전 구간 복선에 최고 속도는 80km/h이다.[13] 노선 연장은 6.1km(영업 구간 5.6km)이다.
3. 1. 개요
자기부상열차는 "ECOBEE"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한국기계연구원(KIMM, 한국과학기술대학교)과 현대로템이 공동 개발했다.[11][12] 총 길이는 6.1km이며, 6개의 역과 80km/h의 운행 속도(설계 최대 속도는 110km/h)를 갖추고 있다.[13]이 열차는 2006년 12월 시작된 한국의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개발 사업(UMP)의 일부였다. 이 사업은 한국기계연구원과 현대와 같은 철도 개발에 참여할 주요 기업 및 기관에 참여를 요청했다. UMP는 한국의 현재 도시 교통 수단을 대체할 자기 부상 교통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자기부상 시스템 연구 개발(R&D)을 위한 한국의 노력을 나타낸다. 이 열차 시스템은 1989년 한국기계연구원(KIMM) 내에서 시작된 개발 프로젝트의 결과이다.[7]
국토교통부는 약 2174억원(전체 자금의 59%), 인천국제공항공사는 787억원(25%), 인천광역시는 189억원(6%)를 각각 투자했다. 또한, 연구 개발에 1000억원가 사용되었다. 이로써 단명한 프로젝트에 총 4150억원 이상의 공적 자금이 투입되었다.[14]
현대로템은 해당 노선의 철도 차량을 개발하고 제조했다. 4개의 열차는 A와 B라는 2개의 객차로 구성된다. 각 객차는 길이 6m, 폭 2.7m, 높이 3.45m이며, 무게는 19ton이고, 초기 가속도와 제동력은 1.1m/s2이다.
3. 2. 제동 방식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와 같은 열차 시스템은 공기 제동 및 전자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그러나 자기부상열차는 일반 열차가 회생 제동 및 공기 제동을 사용하는 것과는 반대로 회생 제동 및 플러깅 제동을 사용한다. 회생 제동은 모터의 속도가 동기 속도를 초과할 때 사용된다. 이 경우 모터는 전류 흐름을 변경하여 모터가 제동한다. 이 일이 발생하면 잉여 전력이 모터의 전력으로 변환된다. 플러깅 제동은 공급 단자가 전환될 때 사용되지만, 단자를 전환하기 위해 전류 흐름의 스토퍼로 외부 저항이 구현되어야 하기 때문에 낭비적인 관행으로 비판받는다. 그 결과 전력이 손실된다.[1]대한민국의 도시형 자기부상열차(현재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로 지칭)를 시험 모델로 하여, 슬립 주파수의 변화와 회생 제동의 에너지 효율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슬립 주파수는 회생 소멸점의 한계를 감소시킨다. 테스트 후, 연구자들은 주파수 감소가 위상 전류의 시스템으로의 변환 시간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감소시켜 더 많은 재생 전력을 축적하게 되었다.[1]
3. 3. 차량
자기부상열차는 "에코비(ECOBEE)"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한국기계연구원과 현대로템이 공동 개발했다.[11][12]현대로템은 해당 노선의 철도 차량을 개발하고 제조했다. 2량 1개 편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4개의 열차가 있다. 각 객차는 길이 6m, 폭 2.7m, 높이 3.45m이며, 무게는 19ton이고, 초기 가속도와 제동력은 1.1m/s2이다.
차량의 세부 제원은 다음과 같다.
제작사 | 현대로템 |
---|---|
운행 방식 | 무인 자동 운전 |
편성 | 2량 1개 편성 |
규격 | 전장 (24m), 전폭 (2.7m), 전고 (3.45m) |
4. 역 목록
역명은 인천광역시 고시 제2012-212호로 2012년 8월 16일에 확정되었다. 모든 역은 인천광역시 중구에 위치해 있다.
역 번호 | 역명 | 한자 역명 | 로마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km) | 영업 거리 (km) |
---|---|---|---|---|---|---|
M01 | 인천공항1터미널 | 仁川空港1터미널 | Incheon Int'l Airport Terminal 1 | 공항철도 | ||
M02 | 장기주차장 | 長期駐車場 | Long Term Parking | 0.4km | 0.4km | |
M03 | 합동청사 | 合同廳舍 | Administration Complex | 0.5km | 0.9km | |
M04 | 파라다이스시티 | Paradise City | 0.4km | 1.3km | ||
M05 | 워터파크 | Water Park | 3km | 4.3km | ||
M06 | 용유 | 龍遊 | Yongyu | 1.2km | 5.5km |
5. 논란 및 비판
2022년 7월 14일, 3년마다 필요한 차량 정비 및 수리가 제때 완료되지 않아 철도안전법에 따라 운행이 일시 중단되었다.
5. 1. 노선 명칭 공모
2012년 5월 인천공항 홈페이지를 통한 일반공모 결과, 총 904건이 접수되어 3차에 걸친 내부 심사와 관계기관의 협의를 거쳐 최우수작으로 뽑힌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로 선정되었다.[42]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최우수작 선정 배경에 대하여 인천국제공항에 국내 최초로 운영한 자기부상열차라는 특징을 가감 없이 가장 잘 표현하였다고 설명하였다. 한편, 공모전 최우수작을 낸 사람에게 100만원 상당의 상품권이 수여된 등 예산 낭비 논란이 있다.[43]5. 2. 운영 적자 및 유지보수 비용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2019년에 하루 4,000명의 승객을 수송했으나, 이는 예상 사용량의 11%에 불과했다.[15][16]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에는 하루 평균 300명으로 이용객이 90% 이상 급감했다.[15]2022년 8월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회의에서 인천 동구의 허종식 의원은 연간 유지보수 비용이 60억원에 달한다며 "운영비 절감 방안"을 요구했다.[16]
2022년 10월 17일, 국회 교통위원회는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대한 국정 감사를 실시했다. 이 자리에서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에 향후 10년간 5000억원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는 초기 건설 비용보다 더 많은 금액으로, 비용 문제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14]
2023년 6월 16일, 인천광역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자기부상열차 부품 구매의 어려움과 높은 비용을 이유로 궤도를 자기부상열차에서 궤도전차 궤도로 전환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이를 통해 유지보수 비용을 최대 35%까지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8][19]
5. 3. 잦은 고장 및 사고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잦은 고장과 사고로 인해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2016년 2월 3일 개통 첫날, 첫 열차가 운행 시작 8분 만에 용유역 300m 앞에서 급제동하며 부상력을 잃고 선로에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하여 운행이 일시 중단되었다.[36] 같은 달 23일에는 용유역과 차량기지를 연결하는 교각에서 전기 케이블 화재가 발생하여 전 노선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37]개통 이전에도 여러 차례 문제가 발생했다. 2013년 9월 개통 예정이었으나, 488개의 하자 사항이 발견되어 보수 및 정비가 필요해지면서 개통이 수차례 연기되었다.[22] 2014년 7월부터 2개월간 시운전이 실시되었으나, 신호·통신 분야 510건, 차량 분야 56건, 토건 분야 85건 등 총 651건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22] 이 때문에 2014년 9월 28일에는 개통이 무기한 연기되기도 했다.[23]
5. 4. 낮은 이용률
2019년 최고 운행 시기에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하루 4,000명의 승객을 수송했는데,[15] 이는 예상 사용량의 11%에 불과했다.[16]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기간 동안 이 숫자는 90% 이상 감소하여 하루 평균 300명의 승객에 불과했다.[15]2022년 8월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회의에서 인천 동구의 허종식 의원은 연간 유지보수 비용이 60억원에 달한다며 "운영비 절감 방안"을 요구했다.[16]
2022년 10월 17일, 국회 교통위원회는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대한 국정 감사를 실시했다. 이 감사에서 인천 자기부상철도는 향후 10년 동안 5000억원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져 비용 문제에 대한 엄중한 비판을 받았다.[14] 이는 초기 건설 비용보다 더 많은 금액이다.
6. 향후 계획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의 새로운 계획에 따르면 운행 시간은 13시간에서 6시간으로 단축되고, 열차 수는 103대에서 25대로 감소할 예정이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연간 운영 비용을 82억원에서 53억원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20]
2024년 1월 3일,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024년 3월부터 운행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21]
참조
[1]
웹사이트
도시형 자기부상철도 3일 개통…세계 두번째
https://www.mk.co.kr[...]
2016-02-02
[2]
웹사이트
Incheon maglev rail under construction
http://koreajoongang[...]
2010-08-03
[3]
웹사이트
About maglev train
https://www.airport.[...]
2023-12-30
[4]
웹사이트
오늘 인천공항~용유동 자기부상열차 개통
http://www.kihoilbo.[...]
2016-02-02
[5]
웹사이트
KBS World
http://rki.kbs.co.kr[...]
2010-09-26
[6]
웹사이트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3일 개통…무료로 운행한다
http://www.yonhapnew[...]
2016-02-02
[7]
논문
Korea's Urban Maglev Program
2009-11-01
[8]
간행물
Review o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 Urban MagLev Interface
http://www.maglev.ir[...]
2011-10-10
[9]
웹사이트
영종자기부상열차 2단계
http://frdb2.ivyro.n[...]
2018-07-09
[10]
웹사이트
Maglev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o be completed this year
https://kojects.com/[...]
2018-07-10
[11]
웹사이트
Maglev Train to Debut at Incheon in 2012
https://www.koreatim[...]
2010-09-26
[12]
웹사이트
Magnetic levitation train to operate in July
http://koreajoongang[...]
2014-10-03
[13]
웹사이트
Railway Gazette: Airport maglev demonstration line
http://www.railwayga[...]
2010-09-26
[14]
뉴스
"인천자기부상열차 실효성 없다" (Incheon Maglev is Ineffective)
https://www.redaily.[...]
2024-01-17
[15]
웹사이트
이용객 외면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차라리 철거를"
https://www.ytn.co.k[...]
2024-01-17
[16]
웹사이트
매년 60억 부담 '자기부상철도' 중단 대신 효율화 주문 (Each year the Maglev will require 6 billion won of investment)
http://www.kyeongin.[...]
2024-01-17
[17]
웹사이트
Ready for repairs
https://koreajoongan[...]
2023-01-11
[18]
웹사이트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관광열차 전환…폐지수순 밟나
https://www.incheoni[...]
2024-01-17
[19]
웹사이트
'혈세먹는 하마'...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중단한다
https://www.kyeonggi[...]
2024-01-17
[20]
웹사이트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첨단교통에서 결국 '궤도열차'로 전락
https://news.ifm.kr/[...]
2024-01-17
[21]
웹사이트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3월부터 다시 달린다 (Incheon Airport Maglev's services to resume from March)
http://www.joongboo.[...]
2024-01-17
[22]
뉴스
2014-06-25
[23]
뉴스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개통 ‘무기한 연기’(仁川空港リニアモーターカー開通「無期限延期」)
http://www.kgnews.co[...]
[24]
뉴스
韓国独自技術で開発 仁川空港リニアが3日開通
http://japanese.yonh[...]
2016-02-02
[25]
뉴스
リニアモーターカーが仁川空港に登場…日本に次ぎ世界2番目
https://japanese.joi[...]
2014-05-15
[26]
문서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명칭 공모 당선작 발표(仁川空港磁気浮上鉄道 路線名公募当選作品発表)
http://www.airport.k[...]
[27]
문서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8번째 개통연기 '불명예' (仁川空港磁気浮上鉄道が8回目となる開通延期の「不名誉」)
http://economy.hanko[...]
[28]
문서
(インターネットレールニュース)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무기계약직 전원 해고(仁川空港磁気浮上列車、無期契約職全員解雇)
http://www.itrailnew[...]
[29]
웹사이트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국제업무단지역→파라다이스시티역’
http://www.kihoilbo.[...]
기호일보
2017-06-24
[30]
문서
도시철도(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역명 개정 결정 고시(都市鉄道(仁川空港マグレブ)駅名改正決定告示)
[31]
문서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개장으로 주변 철도 역명 속속 변경
http://www.kyeonggi.[...]
[32]
문서
자기부상철도 운행시간 조정 안내
https://www.airport.[...]
[33]
문서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폐업 신청, 궤도시설로 변경…노조 반발(仁川空港磁気浮上鉄道廃業申請、軌道施設に変更…労組反発)
https://www.hani.co.[...]
[34]
웹사이트
仁川空港「磁気浮上鉄道」今年末まで休業へ…整備遅延で
https://japanese.joi[...]
2022-07-13
[35]
문서
磁気浮上列車のご紹介
https://www.airport.[...]
[36]
웹사이트
磁気浮上列車が運行開始から8分後にストップ、出だしから「ぎっくり」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8-08-26
[37]
웹사이트
仁川空港リニアで火災 全線で運行停止
http://this.kiji.is/[...]
共同通信
2016-02-24
[38]
문서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위 4개의 광역시 및 창원시
[39]
문서
인천광역시고시 제2012-212호
http://announce.inch[...]
2012-08-16
[40]
문서
인천광역시고시 제2017-144호
http://announce.inch[...]
2017-06-19
[41]
문서
인천광역시고시 제2017-330호 "도시철도(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역명 개정 고시"
2018-01-02
[42]
간행물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명칭 공모 당선작 발표
http://www.airport.k[...]
인천국제공항 공항소식
[43]
뉴스
명칭공모 16번 입상자는 누구?
http://news.heraldm.[...]
헤럴드경제
2012-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